본문 바로가기

좋은정보

동기부여 종합

1.학습 태도에 따라서 적절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
◆아이들에게 상응하는 적절한 보상을 하므로서 아이들의 마음을 즐겁게 하고 나아가서는 그 보상을 받기 위해서 보다 더 열심히 노력을 하게 된다. 보상으로는 신체접촉, 칭찬, 애무, 맛있는 음식, 아이들이 좋아하는 물건 등을 준다.

2. 아이들이 충분하게 해 낼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을 가지고 항상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아이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기본임을 명심하여야할 것이다. 
◆ 부모의 믿음이야말로 부모가 아이들에게 힘찬 기운을 불어 넣어 주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믿음이 없는 관계는 깨어지기 마련이다. 부모 자식간에도 두터운 믿음이 꼭 필요하다.

3.아이들에게 계속 칭찬과 격려를 해주면 해 줄수록 아이들의 학습능력은 좋아진다.
◆ 아이들을 지도하는 선생님이나 부모들은 말과 행동으로 항상 격려와 칭찬을 해 주어야하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 주어야 하고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이다.

4.상호간에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이들과 부모사이에 따뜻한 인간애가 오고가야 신뢰와 존경이 쌓이게 되고 그 신뢰와 존경이 아이들의 인성을 좋게 만들고 학습능률을 상승기켜 준다.

5.시간을 잘 활용하는 것이 시간 절약 효과와 학습능력을 높힌다.
◆ 사람마다 공부가 잘 되는 시간이 있고 공부를 열심히 해도 효과가 없는 시간이 반듯이 있다. 그 시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그 시간을 알아보는 방법은 나중에 논하기로 한다.

6.공복일 때 공부를 하는 것이 가장 좋다. 
◆ 공복일 때가 정신적으로 가장 긴장되어 있고 보상으로 주는 간식에 가장 좋은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보상으로 주는 간식의 크기가 클 경우 정신을 온통 먹는 것에 쏟기 때문에 가급적 피하고 과일이나 음식도 아주 작고 단번에 먹을 수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배가 부르면 잠이 오게 마련이니 식후에는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7.체벌위주로 지도를 하는 것은 절대로 금물이다.
◆ 감수성이 많은 아이들에게 체벌을 하거나 심하게 몰아 부치면 마음에 상처를 입는다. 그리고 선생님이나 부모의 눈치를 살피게 되고 선생님이나 부모가 보는 앞에서는 마지못해 공부를 하는 척하지만 선생님이나 부모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공부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절대로 체벌위주로 지도를 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8.빠른 시간내에 학습효과를 기대하지 말고 꾸준하게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다.
◆ 아무리 좋은 학습방법이라고 하여도 금방 학습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성적이 좀 올랐다고 크게 기뻐할 일도 아니고, 성적이 좀 떨어졌다고 해서 흥분할 일도 아니다. 언젠가는 틀림없이 좋은 성적이 나올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꾸준하게 기다려 주는 것이 사랑하는 자녀들을 훌륭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이다.

9.기분이 나쁘거나 시간에 쫒길 때는 아이들과의 대화를 하지 않는 것이 아이들을 위한 길이다.기면서 훈련을 하게 되면 
◆선생님이나 부모도 사람이기 때문에 기분이 나쁘거나 시간에 쫒기다 보면 자칫 감정으로 아이들을 대하기 쉽기 때문에 괜히 죄 없는 아이들에게 화풀이를 하거나 짜증을 낼수가 있기 때문이다.

10.처음부터 오랜시간을 할당해서 공부를 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 
◆처음부터 오랜 시간을 공부를 시키게 되면 아이들은 공부를 혐오하거나 기피하게 된다. 처음에는 짧은 시간에서 시작하여 점차로 시간을 늘려 가야할 것이며 부모가 아이들과 함께 공부를 한다면 그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11.공부를 하는 흉내만 내어도 진심으로 칭찬을 해 주라. 
◆아이들이 공부를 하는 흉내만 내어도 진심으로 칭찬을 해 주고 안아 주는 것이 좋다. 부모들이 기뻐하는 모습을 보는 아이들의 마음도 무척이나 기쁠 것이다. 그 기분으로 공부를 하게 되면 그 능률은 훨씬 더 높아 진다.

12.기초를 마스터한 후에 다음 과목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튼튼한 건물을 지으려면 기초가 확실하게 다져져야 하듯이 공부도 마찬가지이다. 확실하게 기초를 다진 후에 다음 공부로 진도가 나가야지 성금하게 다음 진도를 나가게 되면 기초가 제대로 다져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혼란만 초래하고, 보다 더 전문적인 공부를 할 때가 되면 사상누각처럼 무너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때 다시 기초 공부를 하지 않도록 기초 공부를 착실하게 해 두어야 한다.

13.문제 하나를 더 맞추어 성적이 오르는 것이 능사가 아니고 문제의 깊이를 이해하고 깨우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공부를 잘하고 못하고가 문제가 아니고 공부하는 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더 중요하고, 왜 공부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가하는 것을 이해하고 깨우쳐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결국은 동기부여가 되어 아이들 스스로가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가는 과정일 뿐이다.

14.선생님이나 부모의 생각대로 아이들이 되리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아이들도 한 사람의 인격체로서 그들만의 세계가 있다. 그리고, 아이들의 나이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나이 어린 아이들에게 경험하지 않은 것을 기대한다거나 추상적인 말로 이해시키려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어른들의 생각으로 말을 하고 이해를 하라고 하는 것은 걷지도 못하는 아이에게 달리라고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어른과 같은 생각을 가지라고 하고 어른과 같은 행동을 하라고 요구하거나 강요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고 아이들을 망치는 결과만 초래 하게 된다.

15.학생을 지도하는 선생님이나 부모는 인내와 끈기 그리고 애정이 필수 덕목이다. 
일단 훈련을 시작했으면 절대로 포기해서는 안 되며, 충분한 시간과 편안한 마음으로 꾸준히 임해야 한다. 

◆아이들을 훌륭한 인재로 성장 시키려면 인내와 끈기, 애정이 필수 덕목이다. 아이들이 잘 따라 주지 않는다고 중간에 절대로 포기를 해서는 안 되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편안한 마음으로 꾸준하게 지도하여야할 것이다. 길어봐야 12년이고, 6년이며, 대학교에만 들어가고 나면 스스로가 알아서 공부를 할 것이니 부모들의 짐은 한결 가벼워 질 것이다.

*아무리 아름답게 빛나는 보석도 다듬지 않으면 그냥 돌일 뿐이라는 사실을 잊지 마시고 내 자녀를 비싼 값을 받을 수 있는 아름답고 멋진 보석으로 다듬으시기를 바랍니다*